9월 23일 아침, 다섯 번째 바이오블리츠.

우리는 작은 새가 되어볼 수 있을까? 겨울의 시작에 앞서 남쪽으로 멀리 날아온 작은 새. 그 새의 귀로 도시의 소음과 굉음을 듣고, 러시아의 광활한 초록 숲과는 딴판인 도시를 그 새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그렇게 듣고 볼 때, 그 새의 마음으로 느낄 수 있을까? 한탄강 전곡 구간은 우리 눈에 아름다운 풍경이지만, 그곳이 새에게도 아름답고 안전한 곳일 수 있을까? 그곳에 자연과 인공은 어느 만큼 뒤섞여 있을까? 새를 보기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자연과 멀고 인공에 가깝다는 걸 뜻한다.

한탄강은 사람에게만 좋은 곳이 아닌, 새에게도 좋고, 모든 종에게도 더 좋은 곳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한다.

9월 17일 임진강변에서 4회차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하였습니다.

평생 조류 연구와 보전의 한 길을 걸어오신, 새와 생명의 터 대표 나일 무어스 박사님이 안내해 주셨습니다. 새의 부리와 다리가 다르게 생긴 것은 먹이와 서식지가 다르다는 걸 알려주고, 모든 종은 개와 고양이의 차이보다 더 큰 차이가 있다는 걸 새로이 이해하게 되었지요.

망원경을 통해, 황로와 대백로가 얼마나 다른지 자세히 관찰했고, 우리나라에서 멸절 단계인 낭비둘기들이 우리 곁을 여러 번 날아다니며 놀라움을 선사했습니다. 해가 비치기 시작하자 곤충들이 날아올랐는지 제비와 귀제비가 풀숲 위를 뒤덮듯 빠르게 날아다니는 모습도 아름다웠습니다.

해법을 찾아서…

2023년 9월 11일은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에서 또 하나의 프로젝트가 시작된 날입니다!
인식 고양, 오염 저감, 생물다양성 증대, 지역사회의 경제적 이로움을 실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해답은 최상의 환경 디자인과 계획의 구현입니다! 새와 생명의 터 본부와 연천지회가 선도적인 전문가 랜디 헤스터(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명예교수이자 《생태민주주의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Ecological Democracy》 저자), 마사토 도히 교수(도쿄공업대학)와 저어새팀 학생들과 함께.

2023년 9월 7일, 서울외국인학교의 (훌륭한!) 학생들이 연천을 방문하여 수질 측정 및 사운드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마이클 패런트 선생님의 지도하에 수행된 이 환경과학 과제학습에서, 학생들은 정말로 중요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새와 생명의 터 대표 나일 무어스 박사, 연천지회 대표 백승광, 회원 이수영이 학습을 도왔습니다.

학생들의 방문을 시작으로 9월 23일까지 특히 바쁜 일정이 이어집니다. 연천 임진강 생물권 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캐나다 아티스트의 연구 목적 방문,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교수 두 분과 도쿄공업대학 연구 팀, 연천군청과의 세미나, 국립생태원 연구자들과의 세미나, 바이오블리츠가 이어집니다.

바이오블리츠 세 번째 활동은 2023년 6월 25일 일요일, 한탄강댐 물문화관 대강당에서 이지원 교수님의 진행으로 시작하였습니다. 먼저 백승광 대표님의 ppt로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의 개념을 이해하였습니다.

이어서 이지원 교수님과 함께 1, 2차 활동 때 보고 들은 새를 이미지와 소리로 다시 만나고, 그림 그리기로 기록을 연습해 보고, 탐조 때 지녀야 할 태도를 숙지했습니다.

야외로 나가니 무더위 탓에 새들 또한 잠잠했지만, 한탄강 모래섬에는 왜가리와 흰뺨검둥오리와 원앙도 한 마리 있었습니다. 강변 숲에서 호반새도 잠깐 울었고, 아주 멀리서 청딱따구리도 나무를 쪼고 있었고, 중대백로도 소리 없이 우리 머리 위를 날아갔지요! 탐사단은 교수님이 내주신 생물 10종 찾기에 무척 진지하고도 적극적으로 임했습니다.

세번의 탐사단 활동을 마무리 했습니다. 9월에 4회차 활동으로 다시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6월 19일, 이정규 생태심리연구소장님의 차분하고 집중력 있는 안내로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탐사단’ 두번째 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새들도 숨을 죽이고 있는 오후, 폭염에 더욱 잘 무장한 탐사단은 고요한 산책로를 걸으며 숨은그림찾기를 하듯 자연에 몸을 감춘 새를 찾고 소리에 귀기울였습니다. 땀이 비오듯 흘렀지만, 함께 걸으며 눈 호강해서 좋았다고 말씀해 주신 참가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파랑새의 붉은 부리와 두 발, 꾀꼬리의 괴성, 마치 정찰하러 온 듯 강에서부터 날아올라 우리 머리 위를 한 바퀴 돌고 내려간 흰뺨검둥오리, 부모를 기다리던 아기 딱새, 강변 모래사장에 무리 지어 있던 흰 나비들과 어린 알락할미새, 여섯 시 넘어 울기 시작한 개구리들, 지원이가 발견한 손톱만한 산개구리 등 기록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 안에 담긴 것은 무엇일까, 숨은그림찾기는 이어집니다. 

3회차는 6월25일(일요일) 한탄강댐 물문화관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번 회차는 이지원 서울시립대 교수님이 수고해 주십니다.

<2023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탐사단> 1회차 활동이 오늘(2023/6/18/일) 오후 4시부터 3시간 가까이 진행되었습니다.

30도를 넘는 폭염에도 불구하고, 1회차 진행을 맡으신 김영걸 교수님의 수고로움 덕분으로 무사히 마칠수 있었습니다. 참석해주신 31분께 ‘새와 생명의 터 연천’ 회원 모두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한탄강 전곡 구간에서 여름을 나고있는 꼬마물떼새, 알락할미새, 깝짝도요, 검은등할미새, 중대백로, 왜가리, 검은댕기해오라기 등을 만날 수 있었고, 연천 한탄강변의 수려한 풍경과 자연들을 가까이 할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내일(6/19/월)은 2회차 활동이 이정규 박사님(전 서울시립과학관장)의 진행으로 이루어집니다.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탐사단 모집>의 내용을 참조하시어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연천과 함께 살아가는 새 친구들이 이곳의 우리와 늘 평화롭게 공존하기를 기원합니다.

2023년 5월, 개구리 사다리를 새로 설치했습니다.

올해도 많은 개구리들이 이용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2023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탐사단에 참여하세요.

강과 주변의 당양한 조류를 필드스코프와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세계적인 조류 데이터베이스인 eBird 에 기록해 보며, 시민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무엇보다 우리 곁에서 함께 살아가는 새들을 새로이 발견하고 사랑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입니다.

학생, 선생님, 학부모, 지역주민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바이오블리츠 #생물다양성탐사 #유네스코MAB

<새와 생명의 터 연천>과 함께하는
“새보러 가지 않을래?”

우리 주변에 살고 있는 새 친구들을 알고 있나요?
명랑한 날개짓으로 자유롭게 하늘을 날며,
아름다운 노래로 귀를 즐겁게 해주는 새 친구들!

내가 사는 동네 새들의 지저귐이 들리는 것만으로 삶이 풍성해진답니다.

새 친구들을 만나보고 싶지 않으세요?

연천에서 탐조활동을 하고 있는 <새와 생명의 터 연천> 회원들과 함께
행복한 탐조생활을 시작해보세요.

날짜 : 2023년 4월 23일(일)
시간 : 오전 10시(약 1시간 정도 진행)
장소 : 차탄천 일대
준비물 : 간단한 간식, 물, 쌍안경(있다면), 어두운 복장신청 : 인스타그램 댓글 or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