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3일 아침, 다섯 번째 바이오블리츠.

우리는 작은 새가 되어볼 수 있을까? 겨울의 시작에 앞서 남쪽으로 멀리 날아온 작은 새. 그 새의 귀로 도시의 소음과 굉음을 듣고, 러시아의 광활한 초록 숲과는 딴판인 도시를 그 새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그렇게 듣고 볼 때, 그 새의 마음으로 느낄 수 있을까? 한탄강 전곡 구간은 우리 눈에 아름다운 풍경이지만, 그곳이 새에게도 아름답고 안전한 곳일 수 있을까? 그곳에 자연과 인공은 어느 만큼 뒤섞여 있을까? 새를 보기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자연과 멀고 인공에 가깝다는 걸 뜻한다.

한탄강은 사람에게만 좋은 곳이 아닌, 새에게도 좋고, 모든 종에게도 더 좋은 곳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한다.

2023년 9월 7일, 서울외국인학교의 (훌륭한!) 학생들이 연천을 방문하여 수질 측정 및 사운드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마이클 패런트 선생님의 지도하에 수행된 이 환경과학 과제학습에서, 학생들은 정말로 중요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새와 생명의 터 대표 나일 무어스 박사, 연천지회 대표 백승광, 회원 이수영이 학습을 도왔습니다.

학생들의 방문을 시작으로 9월 23일까지 특히 바쁜 일정이 이어집니다. 연천 임진강 생물권 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캐나다 아티스트의 연구 목적 방문,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교수 두 분과 도쿄공업대학 연구 팀, 연천군청과의 세미나, 국립생태원 연구자들과의 세미나, 바이오블리츠가 이어집니다.